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여행하는 스마트한 방법✈️ 곳곳에서 활약 중인 플리토 AI 동시통역 모음집
페이지 정보

본문
#인공지능 AI 모음집 #AI #ChatGPT #GPT #R #Python #JuliusAI #Canva #Perplexity #챗지피티 #지피티 안녕하세요. Toipotent 입니다. 오늘은 이번에 노벨물리학상과 노벨화학상을 받고, 요즘 시대 가장 핫한 화두인 인공지능의 활용법에 대해서 좀 다루어 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이 데이터 분석을 전문으로 하시거나, 그렇지 않고 일상의 업무 혹은 소소한 일에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으니, 꼭 포스팅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구는 얻어가셨으면 합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AI는 인공지능 붐의 선두주자라고도 할 수 있는 OpenAI의 ChatGPT 서비스일 것입니다. 다양한 분들이 채팅창을 통해 인공지능 모델인 GPT-4o와 소통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인공지능이다! 라고 AI 모음집 하면 바로 이 ChatGPT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이 전지전능할 것 같은 GPT도 범용성에서는 다른 인공지능 모델들보다 우위를 접하고 있을 수 있지만, 특수성에서는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특히나, 최신의 정보들,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기존의 학습 데이터와 연관시켜서 내놓을 답변을 만드는 데에는 취약함을 보이죠. 이런 이유로, 검색이나 데이터 분석, 그림 생성 등 인공지능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스킬 중 특수한 분야에 집중해서 특화된 서비스를 만드는 업체들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들어보셨을 업체로는, SKT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한국에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퍼플렉시티 (Perplexity)가 있을 겁니다. 검색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AI 모음집 있죠. 그리고 AI에 조금 관심을 가지고 계신분들이라면 메타에서 만든 라마(LLama: 현재 한국에서는 접속할 수 없습니다) 나,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에서 만든 그록 (Grock: 트위터를 이용하고 계시면 아마 사용하실 수 있을겁니다). 이런 다양한 LLM 모델들을 이용하는 서비스들 중에 제가 업무를 할 때 사용을 많이 하고, 여러분도 사용하시면 좋을만한 것들을 좀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1. 퍼플렉시티 (Perplexity) 퍼플렉시티는 구글의 대항마로 불리는 AI 기반 검색 서비스입니다. 위와 같은 굉장히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비스인데, 이 입력창에 텍스트나 사진을 넣으면 이에 대한 웹 정보 및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구글로 AI 모음집 찾아도 요즘에 좋은 정보들을 많이 주긴 하지만, 구글이 기존의 정보들 중 내가 관심있을 만한 것을 포커싱을 해준다면, 퍼플렉시티는 관심있을 만한 정보들을 여러곳에서 모아 정리해서 하나의 글로 만들어주고, 거기에 대해 사용된 웹 문서들을 하나하나 각주로 다루어준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웬만한 검색은 이제 퍼플렉시티로 하는 편입니다. 2. Julius AI 다음은 Julius.ai 입니다. 특히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에 전문화된 서비스 입니다. 데이터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R Python둘 다 지원하죠. 기본적인 코딩능력이 있는 분들이라면, 본인이 원하는 분석을 상세하게 입력할 수 있을 것이고, 이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코드들을 이해하기 쉬울 AI 모음집 겁니다. ChatGPT도 비슷하게 나의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분석을 요청할 수 있긴 한데, GPT는 분석을 하다가 오류가 나면 멈추거나, 진행을 하던 중 오류가 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데 반해, Julius.ai는 처음부터 끝까지 분석을 하고, 오류가 나올 경우 오류를 분석 및 해석하여 새로운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 임무를 완수해 냅니다. 또한, 본인이 사용한 코드들의 주석도 매우 상세하게 달아줄 뿐만 아니라, 분석을 끝낸 후에 분석 내용을 정리해서 알려주거나, 생성된 이미지들도 그대로 올려줍니다. R studio의 자동화 버전이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로 데이터 사이언스 친화적인 서비스라, 정말 추천을 하는 서비스 입니다. #R #Python #Rstudio AI 모음집 #Jupyternotebook #데이터분석 #코딩 #연구 #대학원 안녕하세요. Totipotent 입...3. Jenni.ai Jenni.ai 는 문서 작업에 특화된 툴입니다. Microsoft word 혹은 한글의 개선판이라고도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본 사진은 제가 제목만 적어둔 상태에서, AI가 제안해주는 문장을 캡쳐한 것입니다. 내가 어떤 글을 쓸 것이고, 어떤 글을 쓰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AI가 적어둔 글의 코멘트를 달아준다는지, 아니면 개선된 버전을 제시한다든지, 아니면 미리 글을 써주고 이 글을 쓸 것인지를 판단하라고 요청하라는 식의 서비스입니다. 특히나 영어로 문서를 작성해야 할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4. Elicit.ai Elicit AI 는 PDF 요약에 정말 특화된 서비스입니다. AI 모음집 읽어야 하는 문서의 양이 많을 때, 문서들을 모두 PDF로 변환해서 업로드를 해주면, 해당 모델이 글에 대한 요약문을 제공해줍니다. 그것 뿐만 아니라, 문서에 대해 궁금한 내용이 있을 때 물어보게 되면, 바로 문서에 해당 내용을 표시해주면서 간단한 대답을 제공합니다. 제가 원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해주는 것 보다는, 내가 읽어야 할 문서를 대신 읽어주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 Canva AI 다음 두 프로그램은 그림에 특화된 서비스입니다. Canva는 DALLE와 같이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주기도 하고, 포스터 등 일러스트레이션을 해야 할 때 템플릿을 만들어 주기도 하는 서비스입니다. Adobe + DALLE 혹은 Midjourney라고 AI 모음집 생각하시면 됩니다. 6. Gamma.ai Gamma AI는 PPT를 만드는데 굉장히 유용합니다. 제가 원하는 스타일에 대해서 입력하면 템플릿 및 기본 사진들을 삽입해주고,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준 PPT를 develop할 수 있어서 발표 자료를 만들 때 굉장히 유용합니다. 여러분들의 연구 및 업무에 이런 다양한 AI들을 활용하여 좀 더 효율적인 삶을 살아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고,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평택 브레인시티 푸르지오 모델하우스 분양안내 25.01.01
- 다음글위험과 용기: 모험가의 끊임없는 탐구 25.01.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